부스트 이용 가이드
프로파일 관리
로스터리에 로스터가 등록되어 있다면, 로스팅 프로파일을 부스트에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아직 로스터를 등록하지 않았다면, 로스터리에 로스터를 등록하는 방법을 먼저 확인해 보세요!
프로파일 정보 확인
부스트에서의 프로파일 정보 확인은 로스터리 멤버 누구나 가능합니다.
모든 프로파일은 로스팅이 완료되자마자 부스트에 자동으로 업로드 되어 어디서나 프로파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부스트에서는 아래의 방법을 통해 프로파일 정보를 편하게 볼 수 있습니다.
그래프 확대
그래프에서 커서를 드래그하면 드래그한 영역 만큼 확대된 그래프를 볼 수 있습니다.
지점 별 수치 확인
온도를 확인하고 싶은 지점에 마우스 커서를 올리면 각 그래프 아래에 해당 지점의 온도와 열원값이 표시됩니다.
모든 프로파일은 원하는 경우, 전체 온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엑셀 시트의 형태로 추출해 저장할 수 있습니다.
프로파일 비교
프로파일 비교는 로스터리 멤버 누구나 가능합니다.
프로파일 비교는 현재 PC에서만 사용 가능한 기능입니다.
프로파일 비교는 한 로스터에서 진행된 로스팅의 프로파일 끼리만 가능합니다.
비교하고 싶은 프로파일을 최대 5개까지 선택하고 프로파일 비교 버튼을 누르면 프로파일들을 한 화면에서 볼 수 있는 비교 화면이 새 창에 나타납니다.
프로파일 선택은 프로파일별 가장 오른쪽에 있는 비교 선택 버튼을 통해 가능하며, 프로그램 로스팅의 프로파일은 선택할 수 없습니다.
프로파일 비교 화면
프로파일 비교 화면은 왼쪽의 그래프 영역과 오른쪽의 온도 및 열원값 영역, 최하단의 상세 정보 영역으로 나뉘어집니다.
프로파일 비교 화면에서는 아래의 방법을 통해 프로파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프 확대
그래프에서 커서를 드래그하면 드래그한 영역 만큼 확대된 그래프를 볼 수 있습니다.
지점 별 수치 확인
온도를 확인하고 싶은 지점에 마우스 커서를 올리면 오른쪽 영역에 해당 지점의 온도와 열원값이 표시됩니다.
원하는 프로파일 강조
오른쪽의 온도 및 열원값 영역에서 강조하고 싶은 프로파일 부분에 커서를 올리면 해당 프로파일의 그래프를 강조해서 볼 수 있습니다.
프로파일 숨기기
오른쪽의 온도 및 열원값 영역에서 숨기고 싶은 프로파일은 숨기기 아이콘을 눌러 숨길 수 있습니다.

최하단의 상세 정보 영역에서는 모든 프로파일의 정보를 한 눈에 확인하고 비교할 수 있습니다.
생두 연결
생두 연결은 로스터리 소유자만 가능합니다.
로스트웨어에서 로스터리에 등록된 생두를 선택하지 않고 로스팅을 진행한 경우, 최초 1회에 한해 프로파일에 생두 정보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로스트웨어에서의 생두 선택이 궁금하시다면, 로스트웨어에서 생두 정보 입력 방법을 확인해 주세요!

생두 연결이 가능한 프로파일은 생두 정보 부분에 생두 연결 버튼이 표시됩니다.

로스터리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생두와 블렌드 중 선택해서 입력할 수 있으며, 아직 생두나 블렌드를 등록하지 않은 경우 생두 및 블렌드 정보 등록 방법을 확인해 주세요!
생두 연결이 완료되면 로스팅 일시가 아닌, 연결 시점을 기준으로 생두의 출고 기록이 생성되며, 생두나 블렌드의 상세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생두 기록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생두 및 블렌드 기록 확인 부분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파일 정보 수정
※ 로스트웨어와 부스트 모두 로스팅 완료 후 프로파일의 생두 정보 변경은 불가능합니다.
로스트웨어에서의 정보 수정
로스트웨어에서 수정 가능한 프로파일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수동 로스팅 & 재현 로스팅- 프로파일 이름, 로스팅 레벨, 메모
프로그램 로스팅 - 프로파일 이름, 메모
로스트웨어에서 프로파일 정보가 수정되는 경우, 부스트에 바로 업데이트 내역이 반영됩니다.
※ 로스터가 와이파이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와이파이 연결 후 동기화가 진행됩니다.
부스트에서의 정보 수정
부스트에서의 프로파일 정보 수정은 로스터리 소유자만 가능합니다.
부스트에서 수정 가능한 프로파일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수동 로스팅 & 재현 로스팅- 프로파일 이름, 로스팅 레벨, 메모
프로그램 로스팅 - 프로파일 이름, 메모
부스트에서의 정보 수정은 로스트웨어와의 동기화를 위해 실시간으로 반영되지 않으며 동기화 대기 상태가 됩니다. 이후, 로스트웨어에서 동기화 작업을 진행하면 로스트웨어와 함께 수정된 정보가 표시됩니다.